http://www.youtube.com/watch?v=iRGJGNXijMA

 

 

흥미로운 동영상이다

하늘에서 미국 병사(로 추정되는 사람)가 버린 콜라병이 원주민들의 마을에 떨어진다

원주민들은 생전 처음 보는 물건에 마냥 신기해하다가

그것을 일상에서 이런 저런 용도로 써보기 시작한다

그러다 차츰 콜라병은, 그것이 없이는 어떻게 살았었나 싶을 정도로, 그들의 삶에 없어서는 안될 물건이 되버린다

콜라병은 오직 하나였으므로 그것을 두고 분쟁이 생긴다

결국 한 사람이 나서서 콜라병을 멀리 던져버리지만 그것은 다시 땅에 떨어와 애꿎은 어린아이를 맞춘다

이것이 동영상의 내용이다

 

오늘 배운 수업에서는 미디어가 문화적 함의를 갖고, 필수적 존재가 되는 것에 대한 예시로 이 동영상을 보았다

콜라병을 medium이라 한다면, 그것이 생겨나고, 문화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게 되고 그러한 과정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난 이를 좀더 다른 관점에서 보려고 한다.

바로 인간에게 필요가 먼저인가, 소비가 먼저인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는 무엇이 필요해서 무엇을 소비한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특히나 현대사회는 필요가 소비를 만든다기 보다는 소비가 필요를 만드는 관점이 매우 크다.

즉 내가 그것을 실질적으로 원하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가 나의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을 소비하는 것이 나에게 정말 필수적인 행위가 되도록 스스로 '소비의 필요'를 만든다.

하나의 소비는 또 다른 소비로 이어지고, 결국 인간은 벗어날 수 없는 소비의 늪에서 늘 갈증을 느낀다.

 

지금까지는 이렇게 상업주의가 범람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로 소비와 필요라는 화두를 국한시켜 생각했었는데

조금 더 시각을 확장해보면 인간의 역사에서 소비와 필요는 사실상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일 것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너무 지나친 비유일 수도 있고, 또 어떤 점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어떤 관점에서는

인간이 필요에 의해 종교를 만들어 내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종교가 또다른 필요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거추장스러운 예를 들지 않더라도, 인간은 필요에 의해 핸드폰을 만들어내놓고는 핸드폰이 없이는 못 사는 존재가 되어버린다.

인간은 필요에 의해 소비를 하고, 그 소비에 의해 필요가 생긴다.

 

사실상 원시시대로 돌아간다고 생각해보면, 없이는 죽을 것은 인간에게 그리 많지 않다.

죽지 않을 만큼의 식량, 얼어 죽지 않을 만큼의 옷가지와 잠잘 곳.

기본적인 의식주의 해결만으로도 인간은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어떠한 필요에 의해 수많은 것들을 만들어내었고

결과적으로 그렇게 만들어낸 것을 소비하지 않고서는 살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이렇게 인간을 소비에 구속시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이 어떠한 종류의 욕망이라고 한다면 그 욕망은 자신을 위한, 혹은 자신으로부터 유래된 욕망일까 아니면

타인에 의한, 타인을 위한 욕망일까?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데 지금 너무 졸리므로 자야겠다..

Posted by Onea
,

5월 3일

오늘자 신문 2013. 5. 3. 00:33

그동안 시험기간이었던지라 실로 오랜만에 신문을 보았다

 

'치매'에 관한 특집기사를 다루고 있었다. 왜?

박근혜 대통령이 주도한 무역투자회의와 SAT 취소에 관한 내용이 가장 비중있게 다뤄졌다.

또 동북공정에 관한 내용이 있었다.

 

끄앙 신문읽는 법을 아직 모르겠다....흠....그냥 읽어도 되는지?

일단 오늘은 첫발 내디딘걸로 여기까지!

Posted by Onea
,

<Reference>

foeign affairs <China's HIV Crisis>

article in blog "에이즈 30년: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거대한 파장"

DBPIA "에이즈 뉴스 프레이밍 분석"

네이버지식백과, 에이즈와 커뮤니케이션

 

수업 시간에 배운 중국의 HIV확산에 관한 Foreign affairs에 실린 논문을, 제시된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에이즈를 바라보는, 만들어진 프레임' 이라는 주제로 이해해보려고 한다.

제시된 논문에서는 중국의 HIV 감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의 원인으로 정맥 주사를 통한 마약사용,

그리고 중국에서 성행하는 매혈을 든다. 또한 전통적인 호구제도도 유동인구를 양상시킴으로써 농민공의 무분별한 성생활과 마약남용은 HIV확산의 주요 요인이라고 한다. 또한 남아선호사상도 성비의 불균형을 일으켜 HIV확산에 기여한다.

이와 더불어 중국의 부실한 의료보험제도 역시 HIV 확산에 기여한다고 한다.

물론 논문에서 '중국의 의료보험제도의 부실함'을 들어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하긴 하였지만

나는 에이즈를 '농민공'과 같은 개인적인 문제로 환원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생각한다.

이는 마치 HIV의 확산을 '가난하고 성에 대한 지식과 관념이 없는 사람들 때문'으로 돌리는 것과 같다.

 

남아프리카 지역의 에이즈 감염률이 제일 높듯이 에이즈는 감염률은 일반적으로 나라의 경제력과 비례한다고 여겨진다.

어느정도의 근거들로 볼 때 이것이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에이즈에 대해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의식에는 왜곡된 부분들이 많다.

사람들은 에이즈를 '무분별한 성행위, 마약 남용'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에는 언론의 보도 탓이 크다.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보수,진보의 대표 언론이라 할 수 있는 조선일보/동아일보 와 한겨레에서 에이즈를 보도할 때 '성행위, 마약'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한다.

또한 참고한 블로그에 제시된 글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의학에서는 에이즈 감염 환자들을 '위험집단'으로 분류한다.

이에 사람들은 동성애, 마약을 하는 사람들을 '위험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만약 동성애와 마약, 무분별한 성행위가 에이즈의 거의 유일한 원인이고 -그것 외의 다른 경로로는 잘 감염되지 않는-

또 그것들이 순전히 개인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행위라면 언론의 보도에 이의제기 요소가 적다.

그러나 에이즈는 개인의 성적 활동 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른 많은 요소들도 관련된 복합적인 '사회적' 현상이다.

그렇기에 그것의 기반에 있는 사회 구조적 차원의 문제 역시도 주목되어야 한다.

 

제시된 논문에서 농민공이 HIV확산의 주범인 이유중에 그들 대부분이 10~20대 초반으로 성적으로 가장 왕성한 시기에 있다는 주장은 비약적이다. 이는 마치 전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10~20대 사람들은 단지 '성적으로 왕성한 시기에 있다'는 이유로 잠재적인 에이즈 환자로 모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에이즈를 논함에 있어서 우리는 언론의 프레임 방식과 그로 인한 사회적 인식을 고려해야하며

개인적 문제로 치환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에 좀더 주목해야 한다.

'지식의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수자의 권리 옹호  (0) 2014.09.15
Posted by Onea
,